연예 스타 / / 2025. 1. 6. 08:36

“김상식 매직, 베트남 동남아 축구 우승으로 베트남 열광” (+ 태국 베트남 하이라이트)

728x90
반응형
더 팩트



김상식 감독이 이끄는 베트남 축구 대표팀이 아세안 미쓰비시일렉트릭컵(이하 미쓰비시컵) 정상에 올랐습니다. 베트남은 6일(한국시간) 태국 방콕 라자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회 결승 2차전에서 태국을 3대2로 제압하며 통산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1, 2차전 합계 스코어 5대3으로 승리한 베트남은 2018년 이후 6년 만에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습니다.

더 팩트

AFP 연합뉴스



베트남은 지난 3일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 2대1 승리를 거두며 유리한 고지를 점한 상태로 태국 원정길에 나섰습니다. 이날 경기는 초반부터 팽팽한 긴장감 속에 진행됐습니다. 베트남은 전반 8분 만에 팜 뚜언 하이가 태국 수비의 혼란을 틈타 선제골을 기록하며 앞서 나갔습니다. 그러나 태국도 반격에 나섰습니다. 전반 28분 태국의 벤 데이비스가 중거리 슈팅으로 동점골을 터뜨리며 균형을 맞췄습니다.

후반전 들어 태국은 공세를 강화하며 분위기를 가져갔고, 후반 19분 수파촉 사라차트가 약 30m 지점에서 감각적인 슈팅으로 골망을 흔들며 역전에 성공했습니다. 이로써 1, 2차전 합계 스코어는 3대3 동률이 되며 경기는 다시 혼전 양상으로 흘렀습니다.

그러나 베트남은 후반 38분 태국의 수비수 판사 헴비분의 자책골로 다시 리드를 잡았습니다. 이후 추가 시간 동안 태국의 맹렬한 공격을 침착하게 막아낸 베트남은 경기 종료 직전 응우옌 하이 롱이 쐐기골을 터뜨리며 승리를 확정지었습니다. 이로써 베트남은 대회 8경기에서 7승 1무를 기록하며 무패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습니다.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이번 대회 우승은 김상식 감독 부임 8개월 만에 이뤄낸 쾌거로, 베트남 축구의 부활을 알리는 상징적인 성과였습니다. 김 감독은 지난해 5월 필립 트루시에 감독의 후임으로 부임했으며, 이후 베트남 대표팀의 체질 개선에 성공하며 팀을 빠르게 정상 궤도에 올려놓았습니다.

특히 김 감독의 이번 성과는 2018년 박항서 전 감독이 이끌던 전성기를 재현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박 감독은 베트남 대표팀을 이끌며 아시안게임 4강 진출(2018년), 동남아시안게임 2연패(2019, 2022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등 역사적인 업적을 남기며 베트남 축구의 영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나 박 감독과 결별한 뒤 베트남 축구는 침체기를 겪었고, 이를 다시 회복시킨 것이 바로 김상식 감독입니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인 지도자들의 활약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인도네시아 대표팀의 신태용 감독, 라오스 대표팀의 하혁준 감독 등 다수의 한국인 지도자들이 도전장을 내밀었으나, 정상에 오른 것은 김상식 감독이었습니다. 김 감독은 동남아시아의 뜨거운 축구 열기 속에서 냉철한 전략과 리더십으로 베트남을 우승으로 이끌며 한국인 지도자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미쓰비시컵은 동남아시아 축구연맹(AFF)이 주관하는 동남아시아 최고의 축구 대회로, ‘동남아 월드컵’으로 불릴 만큼 높은 인기를 자랑합니다. 이번 대회에서도 동남아시아 10개국 대표팀이 참여해 약 한 달간 치열한 경쟁을 펼쳤습니다. 베트남은 대회 기간 동안 강력한 전력을 바탕으로 무패 행진을 이어갔으며, 결승전에서 숙적 태국을 꺾고 우승을 확정 지었습니다.

태국은 이번 대회를 통해 통산 8번째 우승에 도전했으나, 베트남의 강력한 경기력에 밀려 3연패의 꿈을 다음 기회로 미뤄야 했습니다. 특히 태국을 이끄는 일본인 지도자 이시이 마사타다는 홈 팬들의 성원에도 불구하고 김상식 감독의 전략을 넘지 못하며 아쉬운 결과를 받아들여야 했습니다.

이번 대회 우승으로 김상식 감독은 박항서 전 감독에 이어 베트남 축구에서 또 하나의 역사를 썼습니다. 김 감독은 경기 후 인터뷰에서 “베트남 팬들의 열정적인 응원과 선수들의 헌신 덕분에 우승할 수 있었다”며 공을 팀과 팬들에게 돌렸습니다.

김상식 감독이 이끄는 베트남 축구 대표팀은 이번 우승을 계기로 동남아시아 축구의 최강자로 다시 자리매김했습니다. 한국인 지도자 열풍의 새로운 장을 연 김 감독의 행보는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https://youtu.be/0qGr9lMPI1s?si=g3AXkE-Y8rt8XSgN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